본문 바로가기

LIFE

미 중 무역전쟁, 희토류(稀土類, rare earth Elements)가 무엇일까요?

 

요즘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이

날로 심해지는 양상입니다.

 

이러한 무역 갈등 상황에

이번엔 중국에서

대미 희토류 보복 가능성에 대해서

연일 언론에서 언급하길래

 

희토류가 뭘까?

한번 알아보기로 했습니다.

 

 

 

 

희토류(rare earth Elements)

주기율표의 57번 란타넘(La)부터

71번 루테튬(Lu)까지의

란타넘족 15개 원소와 스칸듐(Sc),

이트륨(Y)을 포함한

17개 화학원소를 말합니다.

 

이들을

희토류라고 부르는 이유는

서로 화학적 성질이 유사하고

광물 속에 그룹으로

함께 존재하기 때문이라네요.

 

 

 

희토류(稀土類)란 이름에서

이것들이 희귀한 광물로

인식될 수 있으나

 

실제 17가지 희토류 금속 중

일부는 다른 흔한 금속들과

 

비슷한 양으로

지각에 존재한다네요.

 

 

 

그러면 왜

이렇게 흔하고 흔한 금속류가

무역전쟁의 중심에 있는 걸까요?

 

그 이유는 이 금속류들이

수요는 높은데

 

정제하고 가공하는 과정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라네요.

 

 

 

중국이

전 세계 희토류 금속 생산량의

70퍼센트 이상을  차지하고 있

 

미국 또한

수입산 희토류의  대부분을

중국에 의존한다고 하니

 

중국 입장에서는

대미 통상 보복의 도구로

충분히 검토할 수도 있겠죠.

 

2010년 동중국해에서

센카쿠열도를 두고

일본과 영토 갈등이

심화되었을 때에도 중국은

일본에 희토류 수출을 중단했고

이에 일본은

무릎을 꿇기도 했답니다.

 

그럼 희토류는

어디에 사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희토류는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고

건조한 공기에서도

잘 견디며 열을 잘 전도하는

특징이 있고

 

상대적으로 탁월한

전기적, 화학적, 발광적,

자성적 성질을 갖고 있으며

방사선 차폐 효과도

갖고 있답니다.

 

 

 

 

그러기 때문에 LCD, LED,

스마트폰 등의

IT산업 핵심 전자부품과

 

에너지 저장장치를 필요로 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첨단 기술 산업 및 태양열 발전,

풍력 발전과 같은

저탄소 녹색성장에

필수적인 원자재랍니다.

 

시대별로

주요 생산지를 알아보면

 

1948년도까지는 인도와 브라질이

주요 생산지였다가

 

1950년대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였고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는

미국이었으며

 

그리고 1980년대 이후부터는

중국이

주요 생산지로 떠올랐습니다.

 

특히 중국은

희토류를 저가로 공급해

미국 등 경쟁 국가를 압도했고

 

 

 

 

그 결과

미국의 대표적인 희토류 광산인

캘리포니아의 마운틴 패스 광산이

 

2002년부터

채광을 중단하게 되었다 하네요..

 

한편 희토류의

채굴과정, 분리과정, 정련과정,

합금화 과정에는 고도의

기술력과 장기간 축적된

노하우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 과정에서 엄청난

공해물질이 발생하기에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중국 대비 생산 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환경보호 등이 이유로

자국 내 희토류 생산을

점차적으로 중지하였답니다.

 

이렇게 오늘

궁금했던 희토류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봤습니다.

 

 

 

미국, 중국에의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불안한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만

 

이같이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지혜로운 방법을

모색할 때인 것 같습니다.

 

 

그럼 다음에 또

궁금증이 생기면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